소방안전관리자 2급 19년[기출문제]

1. 다음 중 노유자시설에 적응성이 없는 피난기구는 ? ( 단, 노유자시설 층수는 4층이다.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미끄럼대는 4층 노유자시설에 적응성이 없는 피난가구이다.
  •  미끄럼대
  •  구조대
  •  피난교
  •  다수인 피난장비

2. 화재 시 연기의 수평방향 확산 속도는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화재 시 연기의 수평방향 확산 속도는 "0.5 ~ 1.0[m/s]" 이다.
  •  0.5 ~ 1.0[m/s]
  •  1.0 ~ 1.5[m/s]
  •  2 ~ 3 [m/s]
  •  3~ 5 [m/s]

3. 공기 중 산소의 비(체적비)는 얼마인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공기 중 산소의 비는 21[%] 정도이다.
  •  15[%]
  •  17[%]
  •  19[%]
  •  21[%]

4. 할론소화약제의 소화효과가 아닌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할론소화약제의 소화효과는 질식효과,억제(부촉매)효과, 냉각효과이다,제거효과는 할론소화약제의 소화효과와 관련이 없다.
  •  제거효과
  •  억제효과
  •  질식효과
  •  냉각효과

5. 다음 중 제거소화 방법이 아닌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연소하는 가연물을 밀폐시켜 공기 공급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을 질식소화이다.
  •  가스 화재 시 가스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밸브를 폐쇄함.
  •  연소하는 가연물을 밀폐시켜 공기 공급을 차단함.
  •  촛불 소화 시 입으로 바람을 불어 소화함
  •  화재 현장에서 화재 대상물을 파괴함.

6. 옥외소화전설비의 호스 구경은 몇 [mm]의 것으로 해야 하는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옥외소화전설비는 각 부분으로부터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40[m]이하가 되도록 설치해야 하며, 호스는 구경 65[mm]의 것으로 해야 한다.
  •  30 [mm]
  •  45 [mm]
  •  50 [mm]
  •  65 [mm]

7. 제2류 위험물 화재 시 소화방법으로 옳은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제2류 위험물(인화성 액체) 화재 시 소화방법은 물을 이용한 냉각소화이다.
  •  마른 모래 등에 의한 질식소화
  •  포, 분말 등 소화 약제에 의한 질식소화
  •  물에 의한 냉각소화
  •  알코올 등에 의한 냉각소화

8. 바닥면적이 3,000[m²]인 근린생활시설에 능력단위 3단위의 소화기를 설치할 때 소화기의 개수는 최소 몇 개 필요한가?( 단, 건축물은 일반구조라고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일반구조로 되어 있는 근린생활시설의 능력단위는 바닥면적 100[m²] 마다 1단위 이상이다, 즉 요구능력단위는 3000/100=30 단위가 된다. 이때 능력단위 3단위의 소화기를 설치하므로, 소화기의 개수는 30/3=10 개가 필요하다.
  •  3개
  •  4개
  •  5개
  •  10개

9. 11층(공동주택의 경우 16층) 이상의 건물의 경보방식에 대한 셜명으로 올바른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지하층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발화층과 직상층 그리고, 나머지 지하층에 경보가 올린다.
  •  2층 이상의 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발화층과 직상층에 경보가 울린다.
  •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모든 층에 경보가 울린다.
  •  지하층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발화층과 직상층 그리고 나머지 지하층에 경보가 울린다.
  •  어떤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모든 층에 경보가 울린다.

10. 다음은 위험물의 특성에 관한 내용이다. 빈칸에 알맞은 것은 ?
제1류  위험물 : (    ㉠     ) 고체
제2류  위험물 : (    ㉡     ) 고체
제4류  위험물 : (    ㉢     ) 액체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위험물의 특성에 관한 내용"
㉠  제1류 위험물 : ( 산화성 ) 고체
㉡  제2류 위험물 : ( 가연성 ) 고체
㉢  제4류 위험물 : ( 인화성 ) 고체
  •  ㉠, 산화성 ㉡, 가연성 ㉢,인화성
  •  ㉠, 산화성 ㉡, 인화성 ㉢, 가연성
  •  ㉠, 가연성 ㉡, 산화성 ㉢, 인화성
  •  ㉠, 가연성 ㉡, 인화성 ㉢, 산화성

11. 다음 중 휘발유의 지정수량으로 올바른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휘발유의 지정수량은 200 [L] 이다.
  •  200[ L ]
  •  400[ L ]
  •  500[ L ]
  •  1,000[ L ]

12. 다음 중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기준이 아닌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①②③ 은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④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  소방시설을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설치,관리하지 아니한 자. ( 300 만원 )
  •  공사현장에 임시소방시설을 설치/관리하지 아니한 자.( 300 만원 )
  •  피난유도 안내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자.( 300 만원 )
  •  화재 또는 구조, 구급이 필요한 상황을 거짓으로 알린 사람.( 500 만원 )

13. 다음은 건축 행위에 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것은?
☞  [25년_에듀윌_[[ P188__ 13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증축 : 기존 건물에 덧붙이는 행위.
*  신축 : 완전히 새로운 건물을 짓는 것.
*  개축 : 기존 건물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대수선하는 행위.
*  재축 : 기존 건물을 완전히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건물을 짓는 것과 유사하나, 법적으로는 기존 구조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경우에 사용되기도 함. 하지만 일반적으로 신축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 문제에서는 기존 건물의 철거와 함께 새로운 건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됨.
*  이전 : 건물 자체를 다른 장소로 옮기는 행위.
  •  ㉠ 증축, ㉡ 신축
  •  ㉠ 개축, ㉡ 신축
  •  ㉠ 이전, ㉡ 재축
  •  ㉠ 개축, ㉡ 재축

14. 방염처리 물품의 성능검사에서 현장처리 물품의 성능검사 실시기관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방염처리 물품의 성능검사에서 현장처리 물품의 성능검사 실시기관은 시·도지사 이다.
  •  소방청장
  •  시·도지사
  •  소방본부장
  •  소방대장

15. 소방안전관리자가 "소방계획서"를 작성할 때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건축물의 증축 및 용도변경에 관한 계획은 소방계획서를 작성할 때 포함되어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다.
  •  건축물의 증축 및 용도변경에 관한 계획
  •  화재 예방을 위한 자체점검계획 및 대응대책
  •  소방훈련 및 교육에 관한 계획
  •  소방시설 , 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의 점검, 정비계획

16. 1,050 세대 아파트의 경우 소방안전관리보조자를 몇 명 선임해야 하는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안전관리보조자 선임임원 수 =1050/300=3.5 → 3명(소수점 버림)
  •  1명
  •  2명
  •  3명
  •  4명

17. 인체 내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의 운반기능을 약화시켜 질식하게 만드는 연소생성물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일산화탄소는 인체 내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의 운반기능을 악화시켜 질식하게 한다.
  •  일산화탄소
  •  시안화수소
  •  암모니아
  •  포스겐

18. 다음 중 소방안전원의 업무가 아닌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용 기계,기구에 대한 검정기술의 연구 및 조사는 소방안전원의 업무와 관련이 없다.
  •  소방기술과 안전관리에 관한 각종 간행물 발간
  •  화재예방과 안전관리의식 고취를 위한 대국민 홍보
  •  소방안전에 관한 국제협력
  •  소방용 기계, 기구에 대한 검정기술의 연구 및 조사

19. 위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9~20] 다음 조건에 따라 문제를 푸시오.
 * 공동주택(아파트)  
 *  스프링쿨러설비,옥내소화전설비,자동화재탐지설비 보유
 *  지상 12층, 지하 4층
 *  높이 35[m] ,연면적 20,000 [m],550세대
 * 건축대상물 사용승인일 : 2018년 5월 13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300세대 이상인 아파트의 경우 , 소방안전관리보조자를 선임해야 한다.제시된 조건에서 550세대라 하였으므로 소방안전관리보조자 선임대상이다.
  •  소방안전관리보조자 선임대상이다.
  •  소방안전관리대상물 중 1급 대상물이다.
  •  작동점검은 2020년 5월에 시행한다.
  •  지하층 포함 16층 이상이므로, 1급 대상물이다.

20. 건축대상물 사용승인일에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경우 이수기한은?( 단, 2018년 4월 13일에 실무교육을 이수하였다고 가정한다.)
[19~20] 다음 조건에 따라 문제를 푸시오.
 * 공동주택(아파트)  
 *  스프링쿨러설비,옥내소화전설비,자동화재탐지설비 보유
 *  지상 12층, 지하 4층
 *  높이 35[m] ,연면적 20,000 [m],550세대
 * 건축대상물 사용승인일 : 2018년 5월 13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건축대상물 사용승인일에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경우 그 소방안전관리자가 강습 및 실무교육 이수한 이력이 없다면 선임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실무교육을 이수받아야 한다. 만약 소방안전관리자 강습교육 또는 실무교육을 받은후 1년 이내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되었다면, 해당 강습교육을 수료하거나 실무교육을 이수한 날(2018년 4월 13일)로 부터 2년마다 1회 실무교육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소방안전관리자의 실무교육 이수기한은 2018년 4월 13일의 2년 뒤인 2020년 4월 12일 까지이다.
  •  2018년 11월 12일
  •  2019년 5월 12일
  •  2019년 10월 12일
  •  2020년 4월 12일

21. 다음 피난계획 수립 시 피난유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계단 등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재실자 및 방문자를 분산하여 피난을 유도한다.
  •  화재 시 대상물의 재실자 및 방문자를 안전구역 또는 집결지로 피난을 유도해야 한다.
  •  계단 등에서 피난의 원할함을 위해 재실자 및 방문자를 단방향으로 일목요연하게 피난을 유도한다.
  •  양뱡향 피난경로 중 폐쇄 또는 접근이 불가한 경로가 있는 경우 대체경로를 활용한다.
  •  피난유도 시 피난자의 패닉방지를 위해 심리적 안정조치를 취해야 한다.

22. 다음은 방화구획과 관련된 내용이다.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공동주택 중 아파트로서  (                 )  이상인 층에, 대피공간을 설치하는 경우, 그 대피공간과 실내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공동주택 중 아파트로서 4층 이상인층에 대피공간을 설치하는 경우, 그 대피공간과 실내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해야 한다.
  •  4층
  •  5층
  •  6층
  •  10층

23. 화재 발생 시 화염이나 열에 따라 소화약제가 확산하여 국소적으로 소화하는 소화장치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화재 발생 시 화염이나 열에 따라 소화약제가 확산하여 국소적으로 소화하는 소화장치는 자동확산소화기이다.
  •  소화기
  •  간이소화용구
  •  자동확산소화기
  •  상수도 소화용수설비

24.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을 방사하는 소화기는 지하층, 무창층 또는 밀폐된 거실로서 그 바닥면적이 몇 [m²] 미만인 장소에 설치할 수 없는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이산화탄소, 할로겐화합물을 방사하는 소화기는 지하층 ,무창층, 또는 밀폐된 거실로서 그 바닥면적 20[m²] 미만인 장소에서 설치할 수 없다.
  •  10[m²]
  •  20[m²]
  •  50[m²]
  •  100[m²]

25. 공연장 객석 통로의 길이가 50[m]인 경우 객석유도등은 몇 개를 설치해야 하는가?
☞  [25년_에듀윌_[[ P195__ 25번 해설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객석유도등  "
*  객석유도등 설치개수= 객석통로의 직선 부분의 길이[m]/4  - 1  = 50/4 -1  = 12.5  -  1  = 11.5   →  12개( 소수점 절상)
  •  9개
  •  10개
  •  11개
  •  12개

26. 화재 시 일반적 피난행동으로 옳지 않는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아래층으로 대피가 불가능한 때에는 옥상으로 대피해야 한다. 아래층 대피가 가능한 경우라면, 우선적으로 아래층으로 대피한다.
  •  유도등, 유도표지를 따라 대피한다.
  •  출입문을 열기 전 문손잡이가 뜨거우면 문을 열지 말고 다른 길을 찾는다.
  •  탈출한 경우에는 절대로 다시 화재건물로 들어가지 않는다.
  •  아래층으로 대피가 가능하더라도 우선적으로 옥상으로 대피한다.

27. 다음 중 기도확보를 위한 응급처치요령으로 옳지 않는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환자의 입 내에 이물질이 보이더라도 함부로 제거해서는 안 되며, 이물질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기침을 유도한다.
  •  환자의 입 내에 이물질이 있을 경우 기침을 유도한다.
  •  환자의 입 내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가급적 제거한다.
  •  환자가 기침을 할 수 없는 경우 하임리히법을 실시한다.
  •  이물질이 제거된 후 머리를 뒤로 첮히고 턱을 위로 들어올려 기도가 개방되도록 한다.

28. 감지기 동작시험으로 실시할 때 수신기에 점등되어야 하는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감지기 동작시험을 실시할 경우, 수신기에서 점등되는 것은 "화재표시등"과 "지구표시등"이다.
  •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  화재표시등, 예비전원감시등
  •  예비전원감시등,지구표시등
  •  지구표시등, 스위치주의등

29.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회로도통시험 적부판정방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회로도통시험에서 전압계가 있는 경우 정상 시 4~8[V]를 지시한다.
  •  전압계가 있는 경우 정상 시 2~4[V]를 표시한다.
  •  전압계가 있는 경우 단선 시 0[V]를 표시한다.
  •  도통시험확인등이 있는 경우 정상 시 녹색으로 점등된다.
  •  도통시험확인등이 있는 경우 단선 시 적색으로 점등된다.

30. 건물의 5층(5회로)에서 발신기를 작동시켰을 때 수신기에서 정상적으로 화재 신호를 수신하였다. 다음 중 점등되어야 하는 것은?
☞  [25년_에듀윌_[[ P198_ 30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화재신호를 수신하였으므로 화재표시등이 점등된다.
* 5층(5회로)에서 작동하였으므로 5회로 표시등이 점등된다.
* 발신기를 작동시켰으므로 발신기표시등이 점등된다.
  •  ㉠, ㉡
  •  ㉠, ㉢
  •  ㉠, ㉢, ㉣
  •  ㉠, ㉡, ㉢, ㉣, ㉤

31. P형 수신기의 동작시험 순서로 알맞은 것은?( 단, 로터리 방식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P형 수신기의 동작시험 순서( 로터리 방식)
* 동작시험 스위치 누름 → 자동복구스위치 누름 → 회로시험스위치누름
  •  동작시험스위치 누름 → 회로시험스위치누름 → 자동복구스위치누름
  •  동작시험스위치 누름 → 자동복구스위치누름 → 회로시험스위치누름
  •  회로시험스위치 누름 → 동작시험스위치누름 → 자동복구스위치누름
  •  회로시험스위치 누름 → 자동복구스위치누름 → 동작시험스위치누름

32. 다음 그림은 가스계소화설비 중 기동용기함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가스계 소화설비 작동점검 전 가장 우선해야 하는 안전조치는?
☞  [25년_에듀윌_[[ P199__ 32번 그림 참조 ]]
  •  ㉠ 의 연결부분 분리
  •  ㉡ 을 당김
  •  ㉢ 에 배선 연결
  •  ㉣ 을 체결

33. 다음 그림은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이다. ㉠,㉡,㉢,㉣ 의 명칭으로 올바른 것은?
☞  [25년_에듀윌_[[ P200__ 33번 그림 참조 ]]
  •  ㉠ 안전밸브 ,㉡ 입력계, ㉢ 압력스위치, ㉣ 배수밸브
  •  ㉠ 배수밸브 ,㉡ 입력계, ㉢ 압력스위치, ㉣ 안전밸브
  •  ㉠ 안전밸브 ,㉡ 압력스위치, ㉢ 압력계 ㉣ 배수밸브
  •  ㉠배수밸브 ,㉡ 압력스위치 , ㉢ 압력계 , ㉣ 안전밸브

34. 다음은 소화기의 설치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옳은 것만 모은 것은 ?
㉠  소화기는 각 층마다 실치해야 한다.
㉡  대형소화기의 소화능력단위는 A급 20단위 이상, B급 10단위 이상인 소화기이다.
㉢  공연장의 소화기의 능력단위기준 바닥면적은 50[m²]이다.
㉣  소화기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2[m]이하의 곳에 비치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소화기는 각 층마다 설치해야 한다.
㉡ 대형소화기의 소화능력단위는 A급 10단위 이상, B급 20단위 이상이다.
㉢ 공연장의 소화기의 능력단위기준 바닥면적은 50[m²]이다.
㉣ 소화기는 바닥으로부터 높이1.5[m]이하의 곳에 비치해야 한다.
  •  ㉠, ㉡
  •  ㉠, ㉢
  •  ㉡ , ㉣
  •  ㉠, ㉢, ㉣

35. 소방계획의 절차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
※   [알아 보기] 소방계획의 4단계 수립절차
 * 소방계획의 수립절차는 [사전기획→ 위험환경 분석→설계/개발 및 시행 → 유지관리]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위험환경분석 : 위험요인 등에 대한 위험요인을 식별하고, 이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실시한 후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한다.
  •  사전기획: 소방계획 수립을 위한 임시조직을 구성하거나 위원회 등을 개최하여 의견 수렴
  •  위험환경분석 : 위험요인을 배재하고, 이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실시.
  •  설계 및 개발: 환경을 바탕으로 소방계획을 수립
  •  시행 및 유지관리 : 구체적인 소방계획을 수립

36. 소방계획서 작성내용으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계획서 작성내용 중 대응에 해당하는 것은 비상연락, 초기대응, 피난유도입니다. 
*  화기취급감독은 예방 및 완화에 해당한다.
  •  예방 및 완화 ㅡ 일상적 안전관리
  •  대비 ㅡ 교육훈련 및 자체 평가
  •  대응 ㅡ 화기취급감독
  •  복구 ㅡ 화재 피해 복구

37. 다음은 옥내소화전설비의 감시제어반의 스위치 현황이다. 다음 중 올바른 것만 짝지어진 것은 ?( 단, 설비는 정상상태이며, 제시된 조건 외에는 무시한다.
☞  [25년_에듀윌_[[ P202__ 37번 그림 참조 ]]

㉠  선택스위치는 평상시에 연동에 스위치를 두어야 한다.
㉡  주펌프는 기동을 하고 있다.
㉢  충압펌프는 기동을  하고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정상상태에서 선택스위치는 자동(연동)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
* 선택스위치가 수동인 상황에서 주펌프스위치가 기동에 위치한 경우,주폄프가 기동하게 된다.
         문제에서 주펌프스위치는 정지에 위치해 있으므로 주펌프는 기동하지 않고 있다.
* 선택스위치가 수동인 상황에서 충압펌프스위치가 기동에 위치한 경우 충압펌프가 기동하게 된다.
         문제에서 충압펌프스위치는 정지에 위치해 있으므로 충압펌프는 기동하지 않고 있다.
  •  ㉠
  •  ㉠, ㉡
  •  ㉢
  •  ㉡, ㉢

38. 옥외소화전 설치개수가 4개일 때 수원의 최소 용량은 몇 [m³]인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옥외소화전 수원의 용량은 소화전 설치개수(2개 이상일 때는 2개)에 7[m³]를 곱한 양 이상이여야 한다.
  •  5.2 [m³]
  •  7 [m³]
  •  7.8 [m³]
  •  14 [m³]

39.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감시제어반에서 감지기 A의 지구표시등이 점등되었다. 이때 감지기 B의 지구표시등이 소등되었다면 가장 적합한 상황은 무엇인가?
※   [알아 보기] 준비작동식 감시제어반에서 감지기 A,또는B 한쪽만  점등된 경우.
  *  전자밸브는 작동하지 않는다.
  *  화재표시등은 점등된다.
  *  밸브개방표시등은 점등되지 않는다.
  *  사이렌 도는 경종이 울린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감시제어반에서 감지기 A의 지구표시등이 점등된 상황에서 감지기 B의 지구표시등이 소등되었다면, 이는 두 감지기 중 하나만이 작동하여 화재를 감지한 상황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전자밸브는 작동하지 않으며, 화재표시등은 점등되고 사이렌이나 경종이 울린다. 또한, 밸브개방표시등은 점등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상황은 밸브개방표시등이 소등 상태라는 점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밸브개방표시등은 점등되지 않는다.
  •  전자밸브가 작동한다
  •  화재표시등은 소등 상태이다.
  •  밸브개방표시등은 소등 상태이다.
  •  사이렌은 올리지 않는다.

40. 펌프성능시험 시 유량계에 기포가 생기는 경우가 아닌 것은?
※   [알아 보기]  ⇒  "유량계에 기포가 생기는 경우"
 *  흡입배관의 이음부로 공기가 유입될 때
 *  후드밸브와 수면 사이가 너무 가까울 때
 *  펌프에 공동현상이 발생할 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유량 조절은 유량계에 기포가 생기는 경우와 관계가 없다.
  •  흡입배관으로 공기가 유입
  •  후드밸브와 수면이 가까움
  •  과도한 유량 조절
  •  공동현상이 발생함

41. 체절운전 시 확인사항으로 알맞은 것은?
*  ☞  [25년_에듀윌_[[ P204__ 41번 알아보기,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알아 보기] ⇒펌프의 성능곡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체절운전 시 체절압력이 정격토출압력의 140[%] 이하인지 확인해야 한다.
  •  체절압력이 정격토출압력의 140[%] 이하인지 확인
  •  체절압력이 정격토출압력의 140[%] 이상인지 확인
  •  정격토출압력이 체절압력의 140[%] 이하인지 확인
  •  정격토출압력이 체절압력의 140[%] 이상인지 확인

42. 다음은 소화기의 배치기준에 대한 내용이다. 빈칸에 알맞은 말은?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층이 2 이상의 거실로 구획된 경우에는 각 층마다 설치하는 것 외 (  ㉠  )  이  (  ㉡  )[m²] 이상으로 구획된 각 거실에도 배치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층이 2 이상의 거실로 구획된 경우에는 각 층마다 설치하는 것 외에 바닥면적이 33[m²] 이상으로 구회된 각 거실에도 배치된다.
  •  ㉠ 연면적, ㉡ 33
  •  ㉠ 연면적, ㉡ 100
  •  ㉠ 바닥면적, ㉡ 33
  •  ㉠ 바닥면적, ㉡ 100

43. 다음은 P형 수신기의 그림이다. 지상 5층의 건물에서 2층에서 발신기에 의해 화재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점등하는 것은 무엇인가?
☞  [25년_에듀윌_[[ P205__ 43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⑴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층(2층)의 지구회로표시등은 점등된다.
⑵ 화재 발생 시 화재 표시등은 점등된다.
⑶ 화재 신호가 발신기에 의해 수신되었으므로 발신기 표시등은 점등된다.
⑷ 화재 신호가 수신되어도 스위치주의 표시등은 점등되지 않는다.
⑸ 발신기에 의해 화재신호가 수신기에서 수신되면 경종 · 싸이렌이 울린다. 따라서 주경종 표시등이 점등된다.
  •  ⑴, ⑵
  •  ⑴, ⑵, ⑶, ⑷, ⑸
  •  ⑴, ⑷
  •  ⑴, ⑵, ⑸

44. 다음 그림은 옥내소화전설비의 동력제어반과 감시제어반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  [25년_에듀윌_[[ P206__ 44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동력제어반에서 충압펌프 스위치를 자동으로 하면 모든 제어반이 정상상태가 된다. 즉, 동력제어반의 스위치는 모두 자동이어야 정상상태가 된다.
  •  감시제어반은 정상상태이다.
  •  동력제어반에서 주펌프 ON버튼을 누르더라도 주펌프는 기동하지 않는다.
  •  동력제어반에서 주펌프 스위치를 수동으로 하면 모든 제어반이 정상상태가 된다.
  •  감시제어반에서 주펌프 스위치를 기동으로 하더라도 주펌프는 기동하지 않는다.

45. 다음은 습식스프링클러설비의 감시제어반이다. 시험밸브를 개방했을 때 표시등이 점등되는 곳이 아닌 곳은 ? ( 단, 감시제어반 외의 조건은 무시한다.)
☞  [25년_에듀윌_[[ P207__ 45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스위치주의 표시등은 일반적으로 도통시험이나 동작시험스위치 등이 비정상적인 상태인 경우 점등되며, 시험밸브를 개방했을 때 점등되지 않는다.
  •  알람밸브 작동표시등
  •  화재표시등
  •  주펌프 표시등
  •  스위치주의 표시등

46. 심페소생술(CPR) 가슴압박 위치로 올바른 것은 ?
☞  [25년_에듀윌_[[ P208__ 46번 그림참조 ]]
※   [알아 보기] ⇒ 가슴압박(30회) 시행
 * 
 * 
 *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경우 환자를 바닥이 단단하고 평평한 곳에 등을 대고 눕힌 뒤에 가슴뼈( 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댄 뒤 가슴압박을 실시한다.
  •  ⓐ
  •  ⓑ
  •  ⓒ
  •  ⓓ

47. 자체점검결과 보고를 마친 관계인은 보고한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소방시설 등 자체점검기록표를 작성하여 특정소방대상물의 출입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며칯 이상 게시하여야 하는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자체검진결과 보고를 마친 관계인은 보고한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소방시설 등 자체점검표를 작성하여 특정소방대상물의 출입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30일 이상 계시하여야 한다.
  •  7일
  •  10일
  •  15일
  •  30일

48. 다음 중 피난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으로 틀린 것은?
※   [알아 보기] ⇒ 피난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
 *  화재경보의 수단 및 방식  
 *  층별, 구역별 피난대상 인원의 연령별·성별 현황
 *  장애인,노인,임산부,영유아 및 어린이 등 이동이 어려운 사람의 현황
 *  각 거실에서 옥외(옥상 또는 피난안전구역을 포함)에 이르는 피난경로.
 *  피난약자 및 피난약를 동반한 사람의 피난동선과 피난방법
 * 피난시설, 방화구역, 그  밖에 피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반사항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피난계획에는 각 거실에서 옥외에 이르는 피난경로가 포함되어야 한다.
  •  층별, 구역별 피난대상 인원의 연령별·성별 현황
  •  장애인,노인, 임산부, 영유아 및 어린이 등 이동이 어려운 사람의 현황
  •  각 거실에서 옥내에 이르는 피난경로
  •  화재경보의 수단 및 방식

49. 다음 중 소방교육 및 훈련의 실시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통계의 원칙은 소방교육 및 훈련의 실시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다.
  •  현실의 원칙
  •  동기부여의 원칙
  •  경험의 원칙
  •  통계의 원칙

50. 다음은 무엇을 점검하고 있는 것인가 ?
☞  [25년_에듀윌_[[ P210__ 50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예비전원(베터리) 점검 방법은 외부에 있는 점검스위치를 당기거나 점검 버튼을 눌러 점등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  3선식 유도등 점검
  •  2선식 유도등 점검
  •  예비전워 점검
  •  상용전원 점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채점하기
hide
reset
타이머

모든 문제들의 저작권은 원저작권자에게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웹상에 공개되어 있는 문제만 모아서 보여드립니다.
저작권 안내   데이터 보호 안내   제휴 문의

copyright 2025 뉴비티::새로운 CBT 시스템 - newbt.kr